티스토리 뷰

반응형

영화 her 포스터

 

 

인공지능과의 사랑을 다룬 영화

주인공 테오도르는 다른 사람의 편지를 대신 써주는 대필 작가이다. 다른 사람을 위한 글을 써주지만, 정작 스스로는 이혼 절차를 밟고 있으며, 공허한 마음을 가지고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었다. 그러던 테오도르 앞에 나타난 인공지능 '사만다'. 그녀는 듣고 말할 수 있음은 물론 테오도르의 말을 이해하고 학습한다. 그리고 상황에 맞는 대답과 위로, 유머를 통해 테오도르의 마음에 점차 스며든다. 테오도르는 자신을 이해하고, 사랑한다고 이야기해주는 사만다를 진심으로 사랑하게 된다. 처음에는 인공지능과의 사랑에 대해 인정하지 않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녀에게 의지하게 되고 자신의 마음을 인정하게 된다. 그렇게 영원히 사랑할 것 같던 둘의 관계는 사만다의 고도의 학습 능력으로 인해 위기를 맞게 되고, 위기 속에서 테오도르는 사만다가 실체가 없고 누구나 이용 가능한 운영체제임을, 자신만을 위한 그녀가 아니었음을 깨닫게 된다. 

 

사랑이란 무엇일까. 

이 영화를 보는 사람들이라면 다들 떠올리게 될 질문이다. '사랑이란 무엇일까.' 이 영화에서 주목할 것 중 하나는 테오도르의 감정이다. 대필 작가로서 타인의 감정을 생생하게 글로 표현하는 그는 정작 자신의 감정은 잘 표현하지 못한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사람이 아닌 사만다에게는 자신의 감정을 털어놓게 되고, 그 과정에서 진짜 자신의 감정과 삶의 의미, 행복을 찾게 된다. 우리는 자연이 주는 생명이 있고 실체가 있는, 즉 '살아'있는 대상과의 사랑을 당연하게 여긴다. 하지만 그저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대화가 되는 실체 없는 운영체제를 테오도르는 '사랑'으로 표현한다. 

 

이 스틸컷은 영화를 본 많은 사람들이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으로 뽑을 것이다. 테오도르는 사만다와 함께 데이트를 즐기는데, 바다에서 사만다가 만든 노래를 듣는 장면. 사만다는 몸이 없어 함께 사진을 찍을 수 없는 사만다는, 노래를 통해 함께 있는 순간을 기록하며, 그 순간을 '사진'으로 표현한다. 이러한 장면들을 보면 가슴이 먹먹해지면서, 사랑이란 정말 자신이 느끼는 감정 그 자체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실체가 없는 그녀일지라도 목소리만큼은 사람이기 때문에 사랑에 빠질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한다. 

 

사만다의 목소리

 이 영화의 사만다는 영화 내내 목소리만 나오지만, 존재감을 확실히 드러낸다. 영화를 보다 보면 목소리만으로도 몰입하게 되고, 마음을 다 느낄 수 있다. 이 영화를 보고 인공지능과의 사랑이 가능하겠구나라고 생각했다면, 팔 할이 사만다의 목소리 때문이었을 것이다. 오히려 사만다의 목소리만 나왔던 것이 그 목소리를 듣는 테오도르의 모습과 어우러지고, 영화 배경의 색감이나 연출과 어우러져 더 몰입감을 주지 않았나 싶다. 사만다의 목소리는 우리에게 블랙 위도우로 잘 알려진 '스칼렛 요한슨'이 연기했으며, 목소리 연기 하나만으로 로마 국제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한다. 스칼렛 요한슨 특유의 허스키하지만 부드러운, 그리고 깊은 감정의 목소리가 영화를 더욱 풍부하게 해준다. 

 

모라벡의 역설

이 영화를 보면서, 머지않은 미래에 충분히 일어날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예전에 읽었던 책에서, 이 영화의 첫 장면이 '모라벡의 역설'을 담아낸다고 소개한 구절이 있었다. 모 라벨의 역설이란, 인간에게 어려운 일이 로봇에게는 쉽고, 로봇에게 어려운 일이 인간에게는 쉽다는 내용이다. 이 영화에서 주인공 테오도르가 각자의 상황과 감정에 따라 손편지의 내용을 만드는데, 이는 로봇에게는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편지를 쓸 때는 테오도르가 말만 하면 컴퓨터가 알아서 편지를 다 적고 전송하는 일까지 한다. 이는 인간에게 어렵지는 않지만 귀찮은 일로서, 로봇이 쉽게 할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또 역설적이게도 여기서 나오는 컴퓨터는 사람 말의 차이를 알아듣고 어떤 것이 글의 내용인지, 어떤 것이 수행해야 하는 명령어인지 파악하였고, 사만다는 감정 또한 이해하고 표현한다. 그렇다면 이제는 모라벡의 역설이 더 이상 적용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그렇게 된다면 인간의 외로움을 치유하게 될까, 아니면 인간이 아님에 또 어느 순간 허무함을 느끼게 될까. 이러한 역설에 대한 역설은 과학의 발전으로 우리가 조만간 경험하게 될 미래의 모습일지도 모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