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집값이 많이 떨어졌다가 반등하면서, 대출을 통해 내 집을 마련하려는 사람이 늘고 있습니다. 집을 구입할 때는 대출이 필수인데요. 금리가 싼 대출을 찾으실 때는, 국가에서 제공하는 대출을 먼저 살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중 자격 조건이 가장 엄격하지만, 금리 이자율이 가장 낮은 것이 '디딤돌 대출'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디딤돌 대출을 받을 수 있는 분들의 조건과 대상, 지원 한도와 금리 기간 등 내용, 신청 기간과 방법 등을 총정리하고자 합니다.
목차
※ 목차가 뭔가 오류가 있어서, 밑의 한도가 나오지 않네요. LTV, DTI같은 한도와 신청 방법도 꼭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대출 금리
대출 금리는 현재 소득 수준에 따라 조금 다르며, 고정금리 또는 5년 단위 변동금리 중 선택 가능합니다. 디딤돌의 금리는 현존하는 대출 중에 가장 낮은 수준인데요. 그러므로 해당된다면 디딤돌 먼저 받으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소득수준에 따라 2천만 원 이하까지는 연 2.15%, 2천만 원 초과부터 4천만 원 이하까지는 연 2.50%, 4천만 원 초과부터 6천만 원 이하까지는 연 2.75%입니다. 그리고 해당 조건이 되면 추가 금리 우대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우대 금리 적용
1. 연소득 6천만원 이하 한부모가구 연 0.5%
2. 장애인가구 연 0.2%
3. 신혼가구 연 0.2%
4. 생애최초주택구입자 연 0.2%
= 위 네 가지 조건에 해당이 되신다면, 기준 금리에서 해당 금리를 더 인하해 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이외 추가 조건은 사진을 참고하세요.
디딤돌대출 자격 조건
디딤돌대출을 받으실 때 가장 궁금한 것은 바로 대출 자격일텐데요. 국가 대출은 크게 개인 요인으로는 나이, 순자산, 소득금액입니다. 그리고 구매하고자 하는 주택 가격의 제한도 있어서, 일정 금액 이상의 너무 비싼 집은 디딤돌대출이 나오지 않습니다.
나이 | 만 30세 이상 무주택 세대주 - 등본상 무주택 세대주여야 합니다. |
순자산 | 5.06억원 이하 |
소득 | 부부합산 연소득 6천만원 이하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2자녀이상, 신혼부부는 연소득 7천 이하) |
구매할 주택 조건 | 주거 전용면적이 85미터제곱 이하 (수도권 제외 읍,면 지역은 100제곱미터 이하) 대출 접수일 현재 담보주택의 평가액이 5억원 이하 - 신혼가구 및 2자녀 이상 가구는 6억원 |
미혼도 디딤돌 대출이 가능한지 물어보시는 분들이 간혹 있는데, 조건에 해당된다면 당연히 가능합니다.
디딤돌 대출 한도 및 신청
대출을 받으실 때 주의하셔야 할 사항이 바로 이 한도인데요. 본인의 LTV와 DTI, 한도 자금을 살펴보셔야 합니다. 대출을 받으실 때 금리가 저렴한 금융(국가)에서 최대로 받고, 이후 신용대출을 받는 것이 유리합니다.

디딤돌 대출의 LTV는 현재 70% 이내이며(생애최초 주택구입자는 80%) DTI는 60% 이내입니다.
일반 2.5억원 이내로 대출이 가능하며, 신혼가구 및 2자녀 이상은 4억 이내, 생애최초 주택구입자는 3억 이내로 가능합니다.
매매가격 이내로 대출받을 수 있으나, 대출과 국민주택건설자금과 중도금대출과 기금대출 모두 합쳐서 매매가격을 초과하면 안 됩니다.

디딤돌 대출 신청은 e 든든 기금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지금까지 디딤돌 대출의 대상, 조건, 한도, 금리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서민을 위한 좋은 대출 제도이긴 하지만, 서울 등의 집값에 비교했을 때 기준이 너무 엄격한 느낌도 드네요. 서울에 3억만 대출해서 살 수 있는 집이 있을까요. 대부분의 분들은 아마 디딤돌 대출보다는 특례 보금자리론을 이용하실 듯하니, 다음 포스티에서는 특례 보금자리론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생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풍 카눈 관련주 모음 (0) | 2023.08.09 |
---|---|
임차권 등기명령 신청서 다운로드 및 방법 (0) | 2023.06.23 |
초보를 위한 투자 방법, ETF 풍차돌리기 (0) | 2023.01.17 |
누구나 할 수 있는 ETF 투자 방법 3단계 (0) | 2023.01.17 |
ETF 엔터주 종류 알아보기 (0) | 2023.01.03 |